•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6개
  • 쓰기
  • 검색

이슈 파월 연준의장 FOMC 연설 및 질의 응답 주요 내용 요약

헤리 헤리
1911 5 6

[ 파월 연준의장 FOMC 연설 및 질의 응답 주요 내용 요약 ]

- FOMC결과 - 2023년까지 2회 금리인상 전망

- 연준, IOER 금리 0.10%에서 0.15%로 변경
IOER 은 연준의 기준금리 상단 역할.  단기자금 시장 안정화를 위한 도구로 자주 활용되어왔으나 현재 단기시장에서 큰 위험 없는 것 감안하면 금리 인상 준비로 해석될 여지가 있음.

- 미 국채시장쪽은 5년물 금리가 가장 급격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유동성이 가장 큰 3/5/10년 국채 중 5년짜리가 가장 직접적으로 금리 인상 타격을 받기에 그런 듯 합니다.

- 단기금리 인상 정도와 시기에 대해 시장의 기대를 잘 드러내는 시장이 바로 유로달러 선물 시장입니다. FOMC 점도표 발표 이후 시장에서는 2022년 4분기 최초의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질의 응답)

1. IOER 조정에 대해서는 전혀 정책적 변화가 아님을 언급
2. 경제활동 참가율은 백신 보급과 함꼐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고 생각. 하지만 모든건 데이터를 보고 판단.
3. 인플레이션은 경기재개와 연관된 쪽에서 중점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안정화 시기는 불확실.
4. 테이퍼링 시기에 관한 질문이 있었습니다. 파월은 테이퍼링의 시기는 전혀 정해진게 없고, 모든 것은 경기 개선 정도 (economy's progress)에 따라 결정.
5.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질문에 대해
-  단기보다는 장기 인플레이션을 본다. 그것이 진짜 인플레이션에서 중요한 것이기 때문.
 - 단기 인플레이션은 가솔린 가격등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6. 경기 회복 정도에 대해서는 다음 FOMC부터 다룰 것.
7. 테이퍼링이 언제쯤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 없어 점도표(Dot plot) 향후 금리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것은 아님 (Not a great forecaster of future rate moves)
8. 테이퍼링에 대해서는 서전에 충분한 논의가 있을 것.
9. FOMC의 초점은 경제의 상태지, 금리 인상이 아님.
10. IOER 인상에 대한 질문
-  IOER은 목표 금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한 수단이고, 단기금리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게 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언급. 
11. 현재 은퇴자가 증가하고 있어 노동시장 참여율이 크게 높아지지 못하고 있지만 이 효과는 수년 내로 사라질 것으로 전망.
12. 은행의 supplementary ratio 관련된 질문이 나왔으나 작업중이라고 답변.
13.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낮은 상태로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14. 아직 팬데믹에 대해 승리를 선언하기엔 이르다.


- 제롬파월이 인플레이션이 낮을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락분의 거의 80%를 되돌리는 모습입니다.

- 미국 증시는 FOMC 이전 레벨로 회복. 하지만 금, 채권 등 다른 자산들은 크게 회복하지 못한채 횡보하고 있습니다.

 

한번씩 읽어보면 좋을듯해!!

신고공유스크랩
데릭 데릭 Bro 포함 5명이 추천

댓글 6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Madlee 21.06.17. 09:50

결국 금리인상은 1년에 한번이상은 올린다는거네

 

물론 경기회복이 빠르면 좋겠지만 뭐든지 단계가 있으니까 너무 서두르지않았으면 좋겠음

profile image
헤리 작성자 21.06.17. 10:28
Madlee

맞아 충격이 안갈정도 조절해서

인상 시킨다면 경기회복이

빨라질수도 있을지도 모르지

profile image
헤리 작성자 21.06.17. 10:29
철원신문

브로도 힘내고 화이팅하자

profile image
3등 데릭 21.06.17. 12:49

일단은 주식과 코온 시장에 긍정적 효과 인것 같은데.. 내가 제대로 본거 맞나?

profile image
헤리 작성자 21.06.17. 13:45
데릭

맞아 돈의힘으로 움직이는거니까

주식장이나 코인장이나

똑같은 영향을받는거지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