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2개
  • 쓰기
  • 검색

정보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구리구리
11896 1 2
금지 규정 네 정치&시사 글이 아닙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 변호사

 

 

Joe_Biden_presidential_portrait.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joebidenyoung.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1972년 정계 입문한지 얼마 안됐을 때의 모습)

 

1969년 변호사 활동을 시작하여 국선변호인과 로펌 근무 등을 오가다가

1970년 카운티 의회 의원, 1972년 델라웨어 주 상원의원이 되면서 정계 중심으로 진출하게 된다.

오래된 흑백사진이 그의 정치인생을 보여준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 중학교 임시 교사

 

 

trudeau.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justin-trudeau-teacher-b-c.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왼쪽 위 수염 기른 남성이 트뤼도)

 

자신의 가문을 캐나다 정계의 명문가로 만들고자 했던 아버지 피에르 트뤼도 전 총리의 기대와는 무색하게

청년기 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중학교 교사, 스키 강사 등 잦은 이직을 하면서 자유로운(?) 삶을 살았다.

이후 2000년 아버지의 장례식 추도사로 인지도를 얻게 되고, 그 이후부터 정계와 가까워졌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 : 직업군인

 

 

jairbolsonaro.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jair-bolsonaro-military-career.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1977년 육사를 졸업하고 브라질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986-87년 브라질 군대의 부정부패 실상을 고발하다가 각종 압박과 누명에 시달려야만 했고,
이후 1988년 전역하여 본격적으로 정치인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 버스기사

 

 

nicomaduro.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maduro_bus.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1980년대 수도 카라카스에서 버스 기사로 일하면서 노동 운동에 투신했고,

쿠바의 사회주의 체제에 일부 영향을 받으며 활동하다가

면식이 있던 우고 차베스가 집권하자 같이 정계 중앙으로 진출하게 된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 은행원

 

 

Fumio_Kishida_20211004.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kishidayoung.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대학생 시절의 기시다 총리)
 

집안 어른들 모두 도쿄대 출신인 것과 달리 본인은 와세다대학 법학부를 졸업했고,

이후 당시 잘나가던 은행인 일본장기신용은행에 입사했다.

1987년 아버지 기시다 후미타케 의원의 비서로 일하다

1992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93년 아버지의 생전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한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 검사

 

 

170815-grove-President-Duterte-tease_tak4rc.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rodrigoduterte.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학교폭력으로 인해 고등학교도 1년 꿇어가면서 졸업했으나, 

성인이 되어 로스쿨을 마치고 1970년 다바오 시의 검사로 일하게 된다.

이후 1986년 다바오 시장에 당선되면서 그의 거친 정치 인생이 시작되게 된다.

 

 

 

 

 

 

 

차이잉원 대만 총통 : 법학자, 대학교수

 

 

차이잉원.pn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차이잉원young.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고등학생 시절의 차이잉원)

 

유복한 가정에서 나고 자라 국립대만대학 법학부, 코넬 대학교, 런던 정경대를 거쳐

27세의 나이에 대만 국립정치대학에서 법학을 가르치게 된다.

대만 정부의 법률 자문 등을 맏다가 2000년 집권한 천수이볜 총통에 의해 입각하게 된다.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 의사

 

 

al-assad.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alassad.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마찬가지로 독재자였던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 대통령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원래 하페즈는 장남 바셀에게 대통령직을 세습시켜줄 생각이었고,

이로 인해 바샤르는 정치와는 거리를 둔 채 의대를 졸업하고 

영국 유학을 통해 안과 전문의가 될 생각이었다.

 

그러나 1994년 형 바셀이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바샤르는 얼떨결에 새로운 후계자가 되어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군의관으로 일하다가 2000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대통령이 되었다.

 

 

 

 

 

 

 

임란 칸 前 파키스탄 총리 : 크리켓 선수

 

 

khan.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khanyoung.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1992년 크리켓 월드컵 우승 직후의 칸)

 

공부를 상당히 잘했는지 옥스포드 대학에서 유학했는데, 잘생긴 외모 덕택에 인기도 많았다고 한다.

거기에 운동에도 소질이 있어서 10대 때부터 크리켓 선수로 활동했고,

1982년부터 10년간 파키스탄 대표팀의 주장을 맏고 92년 파키스탄의 마지막 월드컵 우승을 이끌기도 했다.

월드컵 우승 후 은퇴하고 1996년경 정계에 입문한다.

 

 

 

 

 

 

 

로타이 체링 부탄 총리 : 비뇨기과 의사

 

 

pmofbhutan.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pmofbhutanasadocotr.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방글라데시 다카 의과대학과 미국 위스콘신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조국 부탄의 유일한 비뇨기과 의사가 되었다.

2018년 총리 취임 이후에도 의사로서의 삶을 놓지 않고

주말마다 짬을 내서 진료를 받고 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 외교관

 

 

Касым-Жомарт_Токаев_04_(10-02-2022).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Vladimir_Putin_with_Kasymzhomart_Tokayev-1.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2000년 푸틴을 만난 토카예프 대통령)
 

모스크바 국제관계대학을 졸업하고 소련의 외교관이 되어 싱가포르, 중국 등지에서 근무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카자흐스탄 외무부의 고위직을 맡다가

2000년대 총리, 외무장관, 상원의장 직을 거쳐 2019년 대통령이 되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 언론인

 

 

bojo.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bojoinbelgium.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벨기에 특파원 시절의 보리스 존슨)
 

옥스포드 대학을 졸업하고 영국의 정론지 더 타임스의 브뤼셀 특파원으로 취직한다.

성실한 기자는 아니었기에 타임스에서 해고되고 데일리 텔레그래프에 취직하여 굴곡 있는 커리어를 보내다

1997년 BBC의 언론인으로서 인지도를 얻게 되고, 2008년 런던 시장에 당선되면서 정치 인생이 시작되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 금융인

 

 

macron.jpe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macronyoung.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국립행정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재무부의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사르코지 대통령의 취임을 계기로 공무원직을 때려치우고 로스차일드 투자은행에 입사한다.

국립행정학교를 졸업하면 10년간 프랑스 정부 기관에서 의무적으로 일해야 하지만,

마크롱은 이를 지키지 않아 약 6천만원의 벌금을 물어야 했다.

 

다만 금융인으로서 초고속 승진을 거듭하며 엄청난 수입을 얻었고,

올랑드 대통령의 집권 이후 경제산업디지털부 장관으로 취임하여

잠시 접어두던 관료의 꿈을 이루고 정계로 진출하게 된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 변호사

 

 

Olaf_Scholz_In_March_2022.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scholz1984.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1984년의 숄츠. 이때까지만 해도 풍성하시다.)
 

고등학생 때부터 사회민주당의 청년조직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했고,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1985년 변호사가 되었다.

이후 노동법 전문 변호사로 일하다 1998년 연방의원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정치 활동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알라르 카리스 에스토니아 대통령 : 유전학자, 대학교수

 

 

alarkaris.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alarkarisyoung.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1981년 에스토니아 생명과학 대학교를 졸업하고 과학자 겸 대학교수로 일하다가

모교의 총장, 감사원장, 에스토니아 국립박물관장 등을 거쳐 2021년 에스토니아 대통령에 취임했다.

위 신문기사는 1997년 그의 연구 현황을 소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 코미디언, 배우

 

 

servantofthepeople.jpg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계 입문 전 직업

 

 

 

 

 

 

 

 

 



 

 

 

 

 

 

 

 

 

 

 

 

더이상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가?

신고공유스크랩
닌자 닌자 Bro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닌자 22.05.22. 19:33

질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개그맨도 했었다니 상상이 안가네.

대통령은 귀천이 없구만.

profile image
2등 BSH777 22.05.23. 07:26

생각보다 우리눈에 잘 뛰는 평범한 직업이 있기도 하고 직업에 사짜가 들어가는 직업을 가진분들이 상당히 많네 역시 머리가 좋아야하나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G7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