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8개
  • 쓰기
  • 검색

자동차 자동차 덕후의 차량관리 요령 (디젤 편)

자리비움 자리비움
7693 8 8

안녕? 브로들 

오늘은 디젤편으로 차량관리요령을 설명 하려고 해..

나의 경우 디젤차량 매니아라서 국내 1700cc U2 엔진부터

3000CC 6기통 디젤엔진 차량까지 영입하면서 아직까지도

무한한 애정을 가지고 있어. 특히 디젤차량의 경우 손이 많이가는

편이라서 주기적으로 셀프정비소에서 리프트에 차량을 점검하면서

관리중에 있어 .. 내가 디젤차량을 운용하면서 주로 관심깊게 보는

부분에 대해서 알려주려고 해.. ㅎㅎ

 

공통 사항

엔진오일 관리

연료계통 관리

   -연료필터 교체

 

거의 대부분이 현대/기아자동차라서 그 기준으로 설명을할게.

너무 깊게 들어가면 범위가 너무 넓어져서 공통적인 부분들만 요약하여 넘어갈게!

 

디젤엔진의 장점

1. 연비 (열효율이 가솔린보다 높다. 압축비 높음 = 연료효율 상승 = 연비상승)

2. 토크가 동급 가솔린 대비 높다. ( 디젤차량은 터보차저를 기본으로 달고있음. 사실 양날의검..)

3. 가솔린 차량대비 내구성이 높다. (재료적인 특성으로 기본관리가 안되면...)

4. 고급유의 압박에서 벋어남. (국내 정유시설은 세계 탑클래스로 사실상 고급경유...)

 

디젤엔진의 단점

1. 엔진계통 수리부속 단가가 높다. (차량 기본가격 상승)

2. 관리를 잘못하면 수리비 지출이 높다.

3. 디젤 특유의 소리와 진동이...

4. 가솔린 대비 RPM의 한계가 명확하다.

 

엔진오일을 아끼려다 수리비로 지출이 크게 발생한다.

디젤차량의 경우 엔진오일을 보면 정말 쌔까맣다.

가솔린에 비해서 엔진 열도 많은 편이며, 산화되는 속도도 빠른편이다.

연소과정 간 EGR(배출가스 재처리 장치)로 인하여 배기가스가 연소실로 다시한번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며 흡기부분에 카본 / 연소실 내 카본이 많이 끼는편으로

엔진오일도 영향을 받을수 밖에 없다. 

엔진오일 교체시기를 넘게되면 산화된 엔진오일로 인한 엔진계통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며, 슬러지로 인한 엔진오일 스트레이너가 막혀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차량 엔진보증기간은 5년 /10만KM 인데. 

엔진오일은 사용자 관리 불량측면에서 제조사 보증이 안될 우려가 있음.

*디젤차량의 경유 엔진오일 C3규격을 확인 잘하자. 초 저황[DPF 수명과 연관]

 

연료필터도 1년에 1번정도는 교체해주자

디젤엔진 연료는 경유(diesel)특성 상 압축착화방식으로 인젝터의 경우

2000Bar 가량의 고압으로 연료를 분사함.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게되면 경유에 불순물 / 수분에 취약하므로 연료계통

자체가 초토화 되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에 신경을 써야함.

특히 디젤차량의 경우 부품자체가 비쌈. 

연료고압펌프의 경우 80만원 내외. 인젝터 1발당 20만원 내외. (국산 수리부속 기준)

보통 연료필터 교체시기를 놓치게될경우 쇳가루가 돌면 ... 상상하기 싫다..

 

인젝터도 차량점검 시 확인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5만 KM 정도 점검 시 인젝터 분사량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음.

보통 시동 불량 / 가속불량의 경우 연료 나 산소의 문제라서 ㅋㅋㅋ

정비소 내 차량 스캐너로 인젝터 분사량 편차를 볼수 있는데..

실린더 마다 분사량 편차가 심하면 정밀하게 인젝터를 제거 후 

장비로 테스트 하는것을 추천. 

 

*초음파 검사는 겉핥기 식이라서 하나마나임.

아래와 같이 전문 테스트 기기가 있는 

업체를 검색 후 점검 받는것을 추천! 

<관련영상>

 

인젝터의 경우 고착이되면. 정비하는 입장에서 욕이 나오므로...

인젝터 확인 간 인젝터 동와셔도 교체를 추천함.

자가정비 난이도는 낮은편으로..

개인적으로 나는 셀프정비소에서 자가교환을 즐겨하는편임...

내 차는 인젝터가 6개라.. ㅂㄷㅂㄷ..    

 

관련영상 (2200cc 이하 4기통 차량은 충분히 할만하니까 참고하면될듯 ㅎㅎ) 

 

그외.

5만 KM 마다 흡기크리닝.. 추천 

디젤차량의 경우 EGR장치로 인한 흡기계통에 카본이 많이 누적이되어

충분한 공기유입이 안되어 매연발생 / 가속불량이 발생을 하게됨..

그외 BMW의 N47엔진의 경우 이런 카본누적으로 인한 화재까지 발생...

DPF크리닝의 경우 배기구에 매연이 보이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단계이며,

블루핸즈에서 차량점검 간 확인해 달라고 하면 스캐너상 문제가 없으면 걱정안해도 될듯함.

 

*설명글 너무 힘들다 ㅋㅋㅋ

  나중에는 직접 하면서 작성하는것으로 가야겠다. 두서없이 너무 주절거리는거 같음 ㅋㅋㅋ

 

요약본

1.디젤차량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최대 마지노선.

2.연료필터 1년에 1번씩 교체 추천

3. 매 5만km 점검 중 인젝터 . 흡기크리닝 . DPF 확인. SCR은 요소수만 보충 잘해주고 ㅋㅋㅋ

신고공유스크랩
불콩 불콩 Bro 포함 8명이 추천

댓글 8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톰하디 22.01.27. 20:55

마이너 브로가 개인적으로 엔진오일은 8천키로마다 교체를 추천했었고

연료필터라는것도 있었구나.. 1년에 한번 메모

좋은정보 고마워 브로!

2등 벤치만20년 22.01.27. 20:57

차가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스크랩해두면 나중에 꼭 도움이 될거같다 ㅋㅋ

profile image
WOLF200 22.01.28. 07:01

11년식 디젤차 오너인데 ㅠㅠ 15만키로 타면서 하나하나 말썽이네 ㅠㅠ 특히 엔진오일 연료필터는 필수 인것같고 여유되면 흡기 크리닝도 해봐야 겠어~ 브로 상세한 설명 정말 고마워

cpwolf 22.01.28. 17:52

브로 너무 전문적이다. 멋있어 .. 그런데 난 차는 몰라서 .. +_+ 그래도 나중에 스크랩해서 읽어보고 아는 척 해야지 ㅋㅋ

profile image
자리비움 작성자 22.01.28. 20:00
cpwolf

취미 생활이 드라이브가 되어버려서 차량에 집착하는

환자가 되어버린 ㅠㅠ..

마지막 내연기관 세대로서..

향후 전기차가 더욱 많이 보급되면 정말 재미없을거 같은 ㅠㅠ

cpwolf 22.01.28. 22:30
자리비움

아니야 전기차를 파고 들어야지 ^^ ㅎ

profile image
불콩 22.01.29. 15:56

브로~~디젤자동차에 관해서 전문적인 지식으로 설명을 잘 해주는구나

나의 애마는 전기자동차...일반상식으로 헤드에 저장해두면 도움이 될것같다

친환경 전기자동차는 정말로 좋은것같다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꾹꾹이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