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6개
  • 쓰기
  • 검색

운동&몸만들기 [헬스 지침서] 초보들을 위한 헬스하는 방법 3편

우르사
3970 5 6

 

[헬스 지침서] 초보들을 위한 헬스하는 방법 1편 - 울프코리아 WOLFKOREA 무더운 여름이 찾아왔다. 이쯤되면...

울프코리아 / 2021-07-22



 

데드 리프트-최초의 웨이트 트레이닝

 

데드 리프트의 “dead”는 어떤 의미 인가?

혹자는 데드 리프트가 죽을 만큼 힘들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데드 리프트에서 “dead”는 “dead-point” 영점을 가리킨다.
 

즉 데드 리프트란 최하점에서 중력을 제외한 어떠한 물리적 에너지도 작용하지 않는 물건을 들어 올리는 행위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필자는 태초의 웨이트 트레이닝이 데드리프트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태초”라는 단어와 어울리기에 인류는 너무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데드리프트를 어려워하며 두려워하기까지 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지금부터 태곳적 우리의 조상들이 수행한 운동의 세계로 독자들을 초대하고자 한다. 


 

1. 파워 리프팅
 

파워 리프팅 시 데드리프트는 무릎을 완전히 펴고 어깨가 충분히 뒤로 젖혀져 있어야 한다.

한마디로 최하점에서 최고점까지의 완전 가동범위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우리가 최하점을 올리는 방법은 없다.
 

하지만 최고점을 내리는 방법은 존재하는데 다리를 벌리고 마치 스모선수와 같은 자세로 데드리프트를 시작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스모 데드리프트이다.
 

 

maxresdefault.jpg

좌-컨벤셔널, 우-스모
 

이때 리프터가 얻을 수 있는 이점은 크게 2가지인데
 

1. 다리가 벌어지는 만큼 신장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동범위를 줄일 수 있다.

2. 모멘트 암의 감소로 상체가 더 수직에 가까워지게 되며 이 때문에 하체 근육의 개입도가 늘어나 더 높은 중량을 리프팅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 방식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지는 않는다.

고관절의 모양에 따라 컨벤셔널에서 더 강한 힘을 사용하게 될 수도 있다.
 

 

20161118000533_0.jpg
 

실제로 현제 데드리프트 최고 기록은 컨벤셔널로 수행한 500kg이다.

그렇다면 어떤 데드리프트를 수행할지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가?
 

정답은 아주 간단하다, 둘 다 해보는 것이다.
 

두 종류의 운동을 충분한 기간 동안 병행하며 무엇이 자신에게 더 편하고 높은 중량을 다룰 수 있는지 관찰하는 것을 추천한다.

필자는 스모 데드는 동성애자나 남자답지 못하다는 소리를 듣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아마 중량을 올리기 위해 컨벤셔널 데드리프트를 포기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런 분들은 앞으로 스쿼트시 랙의 사용을 자제해 주길 바란다.
 

과거 스쿼트는 마치 클린 앤 저크를 하듯 바벨을 머리 위로 올린 뒤 다시 견착해 수행했다고 한다.

당연히 고중량은 힘들었을 것이다.
 

이제 와서 고중량 스쿼트를 위해 랙을 사용하는 것이야 말로 남자답지 못한 행동이 아닌가?


 

2. 크로스핏
 

앞 글과 마찬가지로 크로스핏 식 데드리프트는 역도와 관련이 있다.

역도성 운동에서 데드리프트는 클린과 스네치를 위한 예비 동작이다.

그렇기에 일반 컨벤셔널 데드리프트와는 역학적 차이를 보이는데 
 

 

15757_9853_5629.jpg

위 사진처럼 컨벤셔널 데드 리프트에 비해 상체가 수직에 가까워지고 바벨은 정강이에 붙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변화는 뒤에서 앞이 아닌 아래에서 위로의 힘의 이동을 일으킨다.

실제로 역도 선수들은 데드리프트와 스쿼트에서 역학적인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한다.

역도식 데드리프트는 후면 사슬 운동보다는 하체 훈련에 가깝다.
 

 

 

image.png.jpg

물론 이 선수처럼 좀 더 엉덩이가 들리고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는 스탠드를 취하는 선수들도 있다.
 

 

이 자세가 역학적으로 역도에 불리하긴 하지만 어쩔 수 없다 인간은 기계가 아니고 고관절의 각도, 깊이, 신체비율 등 많은 것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자세가 이선수의 최선인 것이다.

프로 선수들도 자신의 한계를 겸허히 인정하고 그 한계 속에서 답을 찾는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도 "역도식 데드리프트"라는 단어에 집착하지 마라

자신이 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최대한의 효율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3. 보디빌딩
 

보디빌딩에서 데드리프트는 항상 뜨거운 감자이다.

그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데드리프트를 "등"운동이라고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번역의 차이, 또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인데

아마 과거 영어권 운동 서적을 번역할 때 "back"라는 단어를 "등"이라고 번역한 것이 원인일 것이다.
 

하지만 "back"는 등을 포함한 후면 사슬 전체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데드리프트를 등 운동이라고 말하는 데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누군가는 후면 사슬 운동이라면 등도 훈련이 되니 등 운동이라고 말해도 상관없다는 주장을 펼친다.
 

바로 이때 인식의 차이가 발생한다.
 

많은 사람들은 "등 운동"이라고 하면 광배근 운동을 떠올린다.

어쩔 수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넓은 등을 가지고 싶어 하며 그렇게 하는데 광배근의 성장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사실 데드리프트를 하며 광배근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려면 후면 사슬의 협응도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러야 한다.

또 보디빌딩식 데드리프트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이다.
 

 

6.jpg

많은 사람들이 루마니안 데드리프트를 하며 광배근의 자극을 찾고자 한다.
 

하지만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의 창시자인 니쿠 블라드는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에 대해 클린 동작을 위해 "back"즉 후면사슬을 강화 시키는 운동이라고 설명한다.
 

광배근이 타깃이라면 렛 풀다운을 당겨라 그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그렇다면 보디빌더에게는 데드리프트가 소용이 없는가?
 

그렇지 않다. 데드리프트로 인해 강해진 후면 사슬은 우리가 다른 운동을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므로 자신의 목적에 맞게 운동을 수행하되 편식하지 않도록 하자.

이 세상에 정확한 자세로 수행할 때 득이 되지 않는 운동은 없다.

 

지금까지 데드리프트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글에서는 벤치프레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신고공유스크랩
불콩 불콩 Bro 포함 5명이 추천

댓글 6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blueskykim 21.07.23. 14:18

오늘도 좋은 글 감사!

데드리프트 조심해서 해야지

난 중량은 늘리고 위험은 줄이기 위해 트랩바를 사용함

 

XTE-HEX-TRAP-BAR-L1.jpg

 

profile image
Madlee 21.07.23. 17:38
blueskykim

이거 있는 체육관은 그리많지 않지

 

그리고 이거 있고 이거를 제대로 사용할줄 아는 트레이너가 있으면 거기서 피티를 받던지 운동을 하던지하라는 이야기도 있었지 ㅎㅎ

profile image
blueskykim 21.07.23. 19:38
Madlee

나는 집에 사다놓고 쓰고 있어 ㅋㅋ 홈트에 딱 좋음

스쾃랙 보다야 훨씬 싸고 편리..

profile image
Madlee 21.07.23. 20:18
blueskykim

나…나는 무릎에 물차서 하체는 이제 안녕…ㅠㅠ

 

상체도 그닥 좋지않아 그냥 푸쉬업과 밖에서 풀업정도ㅠ

profile image
2등 코어멤버 KEI 21.07.24. 16:48

좋은 글이네. 나도 이런저런 방식으로 운동을 많이 해본 사람으로서 생각이 많은 편인데. 결국은 스쿼트더라고.

 

무게를 많이 하지 않고 적당한 무게로 풀스쿼트를 중심으로 운동하고. 그 다음 무게치고 일반적인 스쿼트.

 

잠깐 다른 운동 하면서 루틴 돌리다가. 다시 하체운동으로 돌아와서 데드리프트 시작.

 

적당한 무게로 스쿼트랙에서 데드리프트 하다가. 무게치고 기구랙으로 옮겨서 데드리프트.

 

다시 다른 운동 하면서 루틴 돌다가. 하체 운동하는 기구로 넘어가서 훈련.

 

이렇게만 해도 하체훈련은 상당히 많이 커버가 되는 편이거든.

profile image
3등 재연배우 21.08.11. 09:02

데드리프트 나는 자세가 안 나와서 못하겠더라고,,허리가 너무 아파ㅠㅠ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5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