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0개
  • 쓰기
  • 검색

부동산 안정 찾아가던 전세시장 5월들어 수요 치솟아

헤리 헤리
1614 3 0
게시판 운영규정 해당 사항을 확인했습니다.

올들어 계속 떨어지기만 하던 전세수급지수가 5월 들어 반등했다. 전세 공급자 대비 전세 수요자가 얼마나 많은지 나타내는 이 지표는 전세난의 가늠자(바로미터)다. 이런 가운데 여당이 임대사업자 제도를 폐지하기로 하면서 전세 공급은 더 줄게 됐다. 지금도 최악인 전세 수급을 한층 더 꼬이게 만드는 꼴이다.

28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KB주간동향 자료에 따르면 5월 넷째 주 전국 전세수급지수는 171.4를 기록했다. 100을 넘으면 전세 수요가 전세 공급보다 많고 200에 가까울수록 전세난이 심각하다는 걸 의미한다. 171.4라는 수치도 심각하지만 더 큰 문제는 방향성이다.

 

작년 말 193.3이었던 전세수급지수는 올 1월 174.3, 2월 170.4, 3월 168.6, 4월 166.9로 계속 떨어졌다. 계절적인 이유가 큰데, 학군이나 직장을 위한 전세계약은 보통 12월까지 이뤄지는 반면 연초에는 계약이 뜸하기 때문이다. 또 작년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전세가율(매맷값 대비 전셋값)이 급등했고, 이에 따라 갭투자 수요가 늘며 올 초 임대 물량이 쏟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매물이 소화되면서 다시금 전세난 조짐이 감지된다. 28일 기준 서울의 전세 매물은 한 달 전 2만3062건에서 2만1519건으로 6.7% 감소했다.

 

특히 최근 전세 불안은 강남의 이주 수요와 맞물렸다는 점에서 한층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20210529_084333.jpg

 

신고공유스크랩
프로댓글러 Bro 포함 3명이 추천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위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