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0개
  • 쓰기
  • 검색

정보 신재생 에너지를 직접 구매하는 PPA 제도에 대해서

욱쓰
9204 0 0
금지 규정 네 정치&시사 글이 아닙니다

image.png 신재생 에너지를 직접 구매하는 PPA 제도에 대해서

 

PPA제도는 소비자가 공급자(1MW이상 신재생발전소)한테 전기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제도야

 

PPA 제도는 2가지가 있어

 

한전이 중계하는 제 3자 PPA

 

기업과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직접 거래하는 직접 PPA

 

 

 

 

image.png 신재생 에너지를 직접 구매하는 PPA 제도에 대해서

 

다들 알다시피 기존 전력거래 시장은 CBP(Cost Based Pool) 시장으로 생산자 - 소비자 직접 거래가 아닌 

 

전력거래소의 관리 하에 발전기들이 발전요금을 입찰하면 가격이 싼 발전기부터 투입되는 구조야 

 

하나의 Pool에서 한번에 팔고 한번에 구매하지

 

올해부터 환경급전 시행으로 탄소배출량거래비용도 발전비용에 포함되긴 했지만 쨋든

 

 

 

신재생에너지 같은 경우 이 시장에 참여하지는 않고 우선적으로 공급되는데 

 

공급 우선 순위도 높으면서 왜 PPA제도를 시행했을까? 

 

PPA의 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RE100 이행이라고 생각해

 

 

 

 

image.png 신재생 에너지를 직접 구매하는 PPA 제도에 대해서

 

많은 해외 기업들이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기를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RE100을 시행하고

 

거래하는 회사 역시 RE100을 이행하지 않으면 더 이상 거래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하면서 

 

우리나라도 RE100 이행을 도와주는 제도들이 생기기 시작해 그 중 하나가 PPA제도야

 

국내 1위 민간 에너지 기업인 SK가 정책 토론회도 꾸준히 참여하면서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솔직히 국내는 SK가 홀로 이끌고 있다고 생각해 

 

 

 

 

image.png 신재생 에너지를 직접 구매하는 PPA 제도에 대해서

 

 

다만 PPA제도는 제 3자 PPA는 일부 거래량이 있지만 직접 PPA제도는 거래가 0건이야 

 

 

 

이유는 두가지라고 생각해

 

 

1. 송배전망을 이용하는 망 이용료 때문에 다른 제도에 비해 비싸다

 

- 민간 기업에서 팔아도 전기를 전송하기 위한 송배전망을 이용하는 가격은 공짜가 아니야

 

 

 

2. 직접 거래에 대한 경험이 없다

 

- 기존에는 한전에 다 맡기고 돈만 내면 됐는데 비싸면서 복잡한 PPA를 굳이...?

 

이런 이유로 해외에서 인정받기 힘든 녹색프리미엄제도와 비싼 PPA제도는 잘 이용 안되고

 

대부분 REC 인증서 구매로 대체하고 있지

 

 

 

 

image.png 신재생 에너지를 직접 구매하는 PPA 제도에 대해서

 

스마트 그리드 확대와 함께 중앙 집중형 구조에서 배전망 중심의 분산형 구조로 바뀌게 될텐데

 

이에 따라 가까운 발전기에서 생산한 전기는 싸게 살 수 있는 제도나

 

개인 사업자가 시작 후 몇 년간 망이용료 면제 및 할인하는 제도

 

전기요금이 낮을 때 일단 생산하고 ESS에 저장했다가 비쌀 때 파는 기술 등

 

 

 

여러가지가 논의 되고 있지만 정권이 바뀐 만큼 다시 전력 시장은 큰 변화가 있을거라고 생각해

 

과연 PPA제도는 신재생 에너지 시장을 확대시키고 기업의 RE100이행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지금봐서는 힘들겠지? 다들 재밌게 지켜보자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살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