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1개
  • 쓰기
  • 검색

정보 블록버스터 의약품 3개에 대해 알아보자

도르마무
6841 1 1
금지 규정 네 정치&시사 글이 아닙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란 제약업계에서 연 매출 1조원이 넘는 제품을 뜻한다. 

 

당연히 정말 눈물나게 비싼 가격을 자랑하는데, 이 중 딱 3개만 알아보자



 

1. Humira - 최근 6년간 16조원/y
 

 

image.png 블록버스터 의약품 3개에 대해 알아보자

 

Abbvie가 만들어낸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크론병, 건선, 궤양성 대장염, 베체트 장염, 화농성한선염, 포도막염 등에 적응증을 갖고 있는 TNF-알파억제제...인데 

 

그냥 최초로 승인된 완전 인간화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항체 의약품이라고 알면 된다.

 

1년치 약값(대략) : $75,000(미국) / 700만원(한국)

 

여기에 2011년 본인부담금은 10%로 제한되기에, 실제로는 70만원만 낸다.

국민건강보험은 위대하다.

 

특이사항: 제조사인 Abbvie가 독특한 특허전략을 세워서 미국시장을 사실상 2034년까지 보호할 수 있었다.

다만 비판 여론 때문인지 2023년 7월에 일부 회사에게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승인했고, 실테조를 비롯한 제품이 내년부터 나온다.

유럽시장은 이미 타사 제품의 침식이 시작되었으며, Abbvie는 유럽분야의 매출 손실을 메우기 위해 보톡스의 제작사 Alegan을 인수했다.




 

2. 솔리리스 - 21년 1분기 기준 1.78조원
 

 

image.png 블록버스터 의약품 3개에 대해 알아보자

Alexion이 만든 aHUS 치료제다.

 

aHUS가 뭐냐고 물어본다면 햄버거병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얘도 슬슬 특허가 끝나서 바이오시밀러가 풀릴때가 다가왔는데, 

 

그래서 동생이 나왔다. 

 

 

image.png 블록버스터 의약품 3개에 대해 알아보자

울토미리스는 바이오 베터인데, 말그대로 약간 개선판이라고 주장되는 제품이다. 

 

이걸로 타사가 파이를 가져가는걸 방어중이다.

 

1년치 약값(대략) : $678,392(미국) / 4억원(한국)

 

솔리리스는 한국도 싸지 않다. 그러나 울토미리스는 급여 등재에 꽤나 심혈을 기울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저렴할 것으로 보인다.

 

다시한번, 당신의 건강보험에 감사하심씨오 휴먼. 


 

 

3. 졸겐스마 2021 1~3분기 매출 1조 1835억원
 

 

image.png 블록버스터 의약품 3개에 대해 알아보자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인 졸겐스마 이다. 

이전에는 스핀라자라는 약을 연3회 맞아야 했고, 연간 주사비용이 37.5만 달러/2700만원이었다.
 

생후 36개월 이전부터 맞아야하기에 80세까지 산다고 가정했을떄 22억 1400만원이나 드는 미친 약이었는데

졸겐스마는 단 한번 맞으면 평생가는 약으로 기대받았는데... 

근데 문제가 있다.

 

약값(대략) : $2,100,000(미국) / 25억원(한국)-급여 적용여부 미정

 

단 한번 맞는 대신 25억원의 미친가격을 자랑한다.

다행인건 작년 5월경 승인 되었고, 급여가 일본수준으로 적용된다면 18.9억원에

한국은 산정특례제도에 따라 희귀병 환자는 본인부담금의 10%만 내므로 실질 지불금액은 2억원 정도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니 여러분은 항상 국민건강보험이라는 존재에 감사하며 살아가십시오

 

 

결론: 국민건강보험은 신이야

신고공유스크랩
Madlee Madlee Bro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1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Madlee 22.02.14. 14:18

국민건강보험좋은데…

 

너무 많이 떼간다ㅠㅠ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