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에 관련된 가벼운 잡담을 나눌 수 있어.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18개
  • 쓰기
  • 검색

아시아(기타) 동아시아 각국의 전통 가옥

JOHNWICK JOHNWICK
1623 6 18

 

 

 

 

 

 

 

 

 

한국

 

 

초가집

7151601999_486263_d1f6208d1c9cfb115041b00d02d6194d.png
서민들이 살던 대표적인 집

 

 

너와집

7151601999_486263_3e82104f2e172e3f5d0da08bb244fb9d.png

 

 

청석집

7151601999_486263_ea531c74f41cdf51651b63f05f0effad.png

굴피집

7151601999_486263_adc8efb836eae0b52186dc1acf0d9883.png
강원도 함경도등 산간지방에서 기와대신 나무, 돌, 나무껍질등을 지붕에 올려 만든 집들

 

 

 

 

투막집

 

너와투막집

7151601999_486263_2c7621b5a61e88436189034b706e005c.png

 

억새투막집
7151601999_486263_46eab09545a47057e4159242010d0a73.png

울릉도의 전통가옥. 벽을 #자 모양으로 나무로 쌓은 통나무집.

 

기와집

7151601999_486263_95dcb1bee9a644a45482190dfd11408f.png

7151601999_486263_d25c9bd1a49c607764be76e6a3283650.png
양반이나 부유층들이 주로 살던 기와를 올린 집.


 


 

 

 

 

일본

 

 

갓쇼즈쿠리

7151601999_486263_b58f60345d5051b4ba2ae21873ea6cae.png
시라카와고 마을등 폭설지대에서 볼 수 있는 일본 전통가옥.

 

 

이네노후나야

7151601999_486263_6a212bed94029eca4b9b5ab8f9edcb57.png
교토 이네만 지역을 따라 있는 전통가옥. 1층에 배의 수납을 함.

마가리야
7151601999_486263_b5a567c9b959aad760b4d61e2cc3d6a6.png
7151601999_486263_0544ece940d0b3646e78559d6ad01ce5.png
일본 농촌지역의 L자형 전통가옥. 말과 함께 사는 구조

 

교마치야
7151601999_486263_0533f7dfcfbfe0dbb99c53eee4ba5d52.png
교토 거리의 전통가옥


쇼인즈쿠리
7151601999_486263_03b9e419e09e1e1e1e2c41ab57fbc14f.png
무로마치 시대부터 근세 초반까지 유행한 무사들이 살던 집.

 

 

스키야츠쿠리

7151601999_486263_b2239490f21c368385f4dcafc809fe13.png
다실(차 마시는 공간)풍으로 지은 전통 가옥. 에도시대에 크게 유행함.

 

 

 

몽골

 

 

게르

7151601999_486263_c9d766d8aaf007645b663faa965f6ff7.png

7151601999_486263_443ea10f6010281a863945b57309c660.png
몽골 유목민들이 사는 분해, 조립이 쉬운 전통가옥. 현대 몽골에선 울란바토르로 이주한 유목민들이 게르 빈민촌을 형성하고 있기도 함.

 

 

 

 

중국

 

요동

7151601999_486263_cd13f7d26074a6858d66745104994f03.png
7151601999_486263_239825fc4dbdc2a6d3b5bafdf1d9d297.png
중국의 황토고원이 많은 지방의 주거형태. 벽의 흙을 쉽게 파낼 수 있어 흙을 파서 집을 지음. 문혁 기간 이 지방 시골로 내려간 시진핑이 살았다는 집이기도 함.


 

 

 

후이저우 민가

7151601999_486263_0ded7b3164fd6f8932f05d91025d5f37.png

7151601999_486263_e55f083817c79c2e480287aa382464c0.png
중국 후이저우 지역의 전통가옥

 

 

 

 

 

사합원

7151601999_486263_4738a7f66a2ee7d92efb25dd66b7e185.png
중국 화북지방의 대표 가옥이나 중국 전역에 있음. 특유의 폐쇄성과 높은 담이 특징. 자금성등 중국 궁궐도 큰 사합원의 구조. 밖으로는 폐쇄적이나 안에선 개방적인 구조라 남과 친한 사람을 강하게 구분하는 중국인의 의식 구조가 반영되었다는 소리도 있음.



토루
7151601999_486263_d818595a6ef2bdf622a6d62c6a00126e.png

7151601999_486263_bec586d5702aa5cf36c53928b0b58894.png
중국 푸젠성 지방에 많이 있는 객가족의 전통가옥. 건물 하나에 수백명이 공동으로 생활하면서 외부의 위협에 맞서 싸웠음.


 

장쑤 민가
7151601999_486263_93b50deb2e5661855bc39f794a5c4329.png
7151601999_486263_a4562916be8b0a2de78be02139ff105d.png

쑤저우등 강남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수상가옥.






묘족 민가
7151601999_486263_74f3fa3b64f95daaa2594d6af2ccc258.png
7151601999_486263_c1f454e2389e2587ae69b3c02f7166a2.png
묘족의 전통가옥. 1층은 동물과 창고 용도로 쓰고 위층에 사람이 삼.


산동 민가

7151601999_486263_dd22b240ea2c926673f5a6a992bfefb8.png
7151601999_486263_12fc90af7a129302e9459ec23c48ba78.png
산동 일부 어촌의 전통가옥으로 해초로 올린 지붕이 특징.


구이저우 민가
7151601999_486263_69ea458a640f3673d2c76152330c71a8.png
구이저우 지역의 소수민족들이 사는 전통가옥.

 

운남 민가

7151601999_486263_38d150843fd46923857d3210c7586416.png
운남성의 다이족들이 사는 전통가옥.

 

 

광시 민가

7151601999_486263_d3f2ee25471e0f5ab9e65793eea4fad4.png
광시지역의 전통가옥.


쓰촨(사천) 민가
7151601999_486263_409e93ef0f253fbf4c07fa4bc4147bfa.png
사천성 지역의 전통가옥.

 

 

 

 

 

 

 

 

 동아시아가 아열대 -> 냉대, 한대 기후까지 있어서 전통가옥도 확실히 다양한듯

 

 

 

 

 

 

 

 우리나라가 정말 가난하게 살았구나

신고공유스크랩
그랜드슬래머 그랜드슬래머 Bro 포함 6명이 추천

댓글 18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헤오 24.06.18. 11:54
그러네. 전통 가옥만 딱 비교해보니 우리나라 너무 가난해 보인다...

물산이 동아시아 쪽이나 중국처럼 풍족하지 않아서 그런 것 같아.
그리고 쓰잘데 없는 유교가 큰 것 같구....

난 저 추운지방 집+교토 전통가옥 반반 쯤 섞인 집에서 숙박한 적 있어.
일본 스키장 마을에 교토 전통가옥처럼 지어놓고 그 위에 눈을 대비해 뭔가가 덮혀져 있더라구.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24.06.19. 22:55
헤오
일본가옥은 참 기풍있고 특색있는거같애

겨울에는 좀 마니 추울거같네~
profile image
2등 로건 24.06.18. 12:12
옛날 우리나라에 폭우나 태풍이 한번 쓸고 지나가면 집들이 피해를 엄청 봤겠는데...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24.06.19. 22:58
로건
초가집경우는 태풍 한방이면 지붕이 날아가 버리겠는데~~
profile image
3등 닌자 24.06.18. 13:12
그래도 우리나라 기와집이 고풍스럽고 튼튼해보이네^^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24.06.19. 22:58
닌자
우리나라 한옥이 제일 멋진거같애~~
profile image
칼리오 24.06.18. 17:41
우리나라는 무적의 온돌이 있으니 겨울은 뜨숩게~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24.06.19. 22:59
칼리오
세계에서 제일 따뜻한 난방문화지 ㄷㄷ
마이클한 24.06.18. 18:06
우리나라가 내가 알기로는 소수림왕 이후로 끊임없이 전쟁가운데 고통만 받은 나라라서
집가옥만 봐도 힘들었다라는게 느껴지네
profile image
울프코리아 24.06.18. 18:06
마이클한
💌 브로 축하해! 추가로 2 WOLF Cash에 당첨되었어.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24.06.19. 22:59
마이클한
워낙에 외세의 침략이 잦아서 집이 남아나질 않았지~
profile image
Madlee 24.06.18. 20:14
중국에 전통이라는 단어를 쓸 수 있는게 있어?!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24.06.19. 23:01
Madlee
변발은 중국전통 인정한다 ㅎ

길거리 똥싸는거랑 ㅋ
profile image
Madlee 6일 전
JOHNWICK
그리고 베이징 비키니가 있지 ㅋㅋ

아무데서나 큰소리로 떠드는거랑!
profile image
그랜드슬래머 24.06.18. 22:36
우리나라 초가집이 겉으로는 저래 보여도 살기에는 좋다고해
황토로 지으면 여름에 덜 덥고 겨울에는 온돌로 따듯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24.06.19. 23:02
그랜드슬래머
지붕만 좀 튼튼하면 너무
좋을텐데~~
profile image
우월 5일 전
뭔가 투박vs깔끔 느낌이네 .. 예뻐

이런게 아름다워보이면 나이를 먹는것인가 크흠
profile image
JOHNWICK 작성자 5일 전
우월
전통가옥이 멋있고 예뻐 보이면 나이 먹은거지 ㅎㅎ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러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