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쓰기 +60(x4배) / 글추천 받음+6 (x2배) / 댓글 +4(x2배)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13개
  • 쓰기
  • 검색

기타 해외여행이 더 비싸진다 입장료 받는 관광 도시들

로건 로건
1372 6 13

2018080710793_0.jpg

 

오버투어리즘 문제로 인해 많은 도시들이 관광세를 도입하거나 강화하고 있음.

특히 유럽의 여러 도시들은 관광세를 통해, 지역 인프라 유지와 문화재 보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고자 함.

 

베네치아, 이탈리아 : 2023년 4월부터 당일치기 관광객에게 입장료를 부과하기 시작했습. 관광객은 QR 코드를 통해 5유로(7,393원)의 입장료를 지불해야 하며, 이를 어길 시 최대 300유로(443,574원)의 과태료가 부과 .

 

 

바르셀로나, 스페인 : 2012년부터 관광세를 부과했으며, 최근에는 이를 인상하여 2023년에는 2.75유로(4,066원)에서 3.25유로(4,805원)로 올림. 이 관광세는 숙박요금에 포함되며, 지역 및 도시 관광세를 합치면 1박당 약 1만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

 

 

프랑스 : 2024년 올림픽을 대비하여 관광세를 대폭 인상. 2024년 1월부터 숙박시설의 관광세를 200% 이상 인상.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2024년 4월부터 신규 호텔 건설을 중단하고, 관광 유람선의 수를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발표. 이는 관광객 수를 줄이고자 하는 정책 .

 

 

도쿄 근처 야마나시 현, 일본 : 후지산 인증샷 명소로 유명해진 로손 편의점 근처에 관광객 통제를 위한 울타리를 설치하여 교통 혼잡과 주민 불편을 해소하려 하고 있음.

 

 

제주도, 한국 : 30년 전부터 환경 보호를 위한 입도세 도입을 논의해 왔으며, 2023년에 상정하려던 계획이 반발로 연기된 바 있음. 2024년에는 입법 절차가 완료될지...

 

 

이러한 관광세 도입과 강화는 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과 문화재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여겨지지만, 관광객과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반발도 상당함. 여행을 계획할 때 관광세 여부와 이를 사전에 결제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신고공유스크랩
헤오 헤오 Bro 포함 6명이 추천

댓글 13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브라이언 3일 전
여기에 발리도 추가해야지.


2024년 2월 14일부터 발리에서는 모든 국제 방문객에게 관광세를 부과합니다. 이 관광세는 1인당 150,000 루피아(약 10달러)로,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이 수입은 발리의 문화유산 보전 및 지속 가능한 관광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 image
2등 코어멤버 NEO 3일 전
근데 관광세가 지금 너무 낮아. 조금 현실적으로 받을 필요가 있어.

지역마다 다르지만 1회 1만원이 아니라, 1일 1인당 3-5만원정도는 받아야 한다고 생각해.

너무 비싸다고? 브로. 이렇게 해서 SNS에 올려보겠다고 어중이떠중이들 여행오는거 줄이고, 진짜 여행을 하려는 여행객들 위주로 여행지가 돌아가야해.

호텔, 비행기 수백수천만원 들여서 여행 갔는데 인파에 휠쓸려서 돌아다니면 그 돈을 다 날리는거야.

차라리 관광세를 좀 더 현실적으로 인상하고, 관광객의 수요를 조금 줄이는게 필요해.

대신 성수기, 비수기는 금액을 다르게 해서 관광업이 너무 침체되지 않게 하고, 그렇게 받은 관광세는 지역 주민들에게 잘 사용해서 관광객으로 받는 고통에 보상이 필요하다 생각해.
profile image
브라이언 3일 전
NEO
나는 관광세는 그렇다고 치는데 인도네시아는 비자비용이 있어서 그게 별로야.!!
가족이 4명이면 이게 가격이 쾌 되더라고 ㅎㅎ
profile image
브라이언

위에서도 같은 이야기를 했지만 1회 4만원이란 작은 돈으론 공무원들 배나 불리는 거고, 관광세를 현실화 해서 오버투어리즘을 좀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특히 에어비앤비의 활성화로 인해 관광객이 너무 많아지는게 문제야. 호텔의 몇배에 달하는 관광객을 수용해버리니 관광객 몰리는 도시들은 맛탱이가 가버리지.

교토만 해도 그래. 제대로 된 호텔이나 로칸들 1박에 100만원이 넘는데 에어비앤비는 5-6만원 짜리도 많으니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릴 수 밖에.

SNS도 문제이긴 하지만 오버투어리즘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에어비앤비가 제공하는 저렴한 숙박이라 생각해.

 

브로에겐 미안한 이야기지만 1인당, 1박당 관광세를 도입해서 여행의 진입장벽을 조금 높여야 한다고 생각해. 

 

지금같은 분위기에선 어디든 여행가고 싶지가 않네. 

profile image
브라이언 3일 전
NEO
에어비엔비는 생각을 안해봤네.

나는 에어비엔비를 한번도 이용해본적이 없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구나.

에어비엔비는 그래도 뉴욕에서는 법이 생기면서 많이 줄었고 다른 나라들도 곧 제한이 생길지도 모르겠네.
profile image
브라이언

오~ 뉴스 검색 좀 해봤더니 오버투어리즘의 원인을 에어비앤비로 보고 뉴욕이나 피렌체에선 제한을 했다는 뉴스가 있구나.

 

내가 에버비앤비를 거론한건 내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개인적인 의견이었어. 여러 원인 중에 하나인데 가장 크리티컬 하다고 보고 있거든.


오버투어리즘을 단순히 엔데믹 현상으로 보고 자연스럽게 해결될거라 믿는 건 바보들이나 하는 짓이지.

적극적으로 문제 분석을 하고 해결책을 내야해.

 

profile image
브라이언 3일 전
NEO
집 전체를 대여를 해주면 안되고 그 방을 대여해주는게 원래 에어비엔비의 방식.

그 지역에서 느낄 수 있는 로컬 경험을 전달하는게 에어비엔비의 원래 목적이였었지.

그 목적이 완전히 퇴색된 상태인 것 같네.
profile image
브라이언
그리고 관광세를 1박당 인원수로 부과를 하면 브로에겐 부담이 커지는 건 맞아.

대신 브로라면 그정도 돈을 지불하고 더 좋은 서비스, 더 나은 여행을 즐기는걸 선택할거라 생각해.

파리 루브르 박물관을 갔는데 작품 구경이 아니라 사람 구경만 하다오면 끔찍하지 않겠어?

피렌체를 갔는데 두오모 대기 줄이 1km라면 가고 싶겠어? 가뜩이나 날도 더운 이탈리아에서.

그래서 당장은 관광세를 올리는거에 부담감이 들 수는 있겠지만,

관광세를 올려서 여행자의 숫자를 줄일 필요가 있어.

지금은 국내여행보다 해외여행이 더 싸게 먹히는 시대잖아.

동남아 애들조차 일본 싸다고 여행오고 있으니 말 다했지.
profile image
브라이언 3일 전
NEO

그렇긴 하지. 나는 아직 발리가 오버관광이라고 느껴본적은 없어.

내가 밖에 잘 나가지 않아서 그런걸까?
쿠타나 이런 사람이 많은곳은 확실히 사람이 많다고 하더라고^^

나는 누사두아에서 호텔을 잡고 지내고 있어 ㅋㅋ

profile image
3등 JOHNWICK 3일 전
이제 여행이 갈수록 비용이 많이드네~~

관광세 도입 취지는 이해하겠는데 넘 비싸면 망설여질듯
profile image
닌자 2일 전
입국할때 관광세 내는건 이해 하겠지만 상점이나 숙박할때도 계속 내면 심하게 고민될듯;;
profile image
헤오 1일 전
위에 닌자 브로 말처럼 단발성 입국세는 뭐 이해함.
다만 관광객 대상으로 모든 것에 세금을 매길정도로 정치인들이 띨빡은 아니겠지...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