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9개
  • 쓰기
  • 검색

이슈 나이 30 넘어가면 생긴다는 습관

브라이언 브라이언
1796 6 9
금지 규정 네 확인했습니다.

나이 30 넘어가면 생긴다는 습관

 

20240618212152_uOd6j10fPr.png.jpg

 

 

만나이 사용과 NN년생 표현의 장점

최근에는 만나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나이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NN년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상대방이 나이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명확한 나이 표현:

    • 만나이를 사용하면 나이 계산이 간단해집니다. 예를 들어, "1990년생"이라고 말하면, 2024년 기준으로 34세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2. 세대 간 소통 용이:

    • 각 세대별로 연도를 기준으로 나이를 이해하기 때문에, NN년생이라는 표현은 세대 간 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2000년생이라면 밀레니얼 세대, 2010년생이라면 Z세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법적 나이와 일치:

    • 만나이는 법적으로도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여러 법적 서류나 공식 문서에서 만나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NN년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법적 일치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시

  • 블로그에 소개할 때:

    • "저는 1995년생으로, 올해 29살입니다. 요즘은 만나이를 많이 사용해서 제 나이를 이렇게 소개하는 것이 더 익숙해졌습니다."
  • 비즈니스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 "우리 회사의 주요 고객층은 1980년생부터 2000년생까지입니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을 세울 때 이 연령대를 고려해야 합니다."

마무리

'NN년생'이라는 표현은 단순하지만, 만나이를 쉽게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여러분도 한 번 사용해보세요!

신고공유스크랩
로건 로건 Bro 포함 6명이 추천

댓글 9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JackSS 24.06.18. 23:40
맞아 ㅋㅋㅋ 주변 중장년층 보면 다 NN년생이라고 했었지.. 나이 기억이 안난다는 이유가 있었구만
profile image
울프코리아 24.06.18. 23:40
JackSS
💌 브로 축하해! 추가로 2 WOLF Cash에 당첨되었어.
profile image
브라이언 작성자 24.06.18. 23:55
JackSS
맞아. 나이 제도도 계속 바뀌고 있어서 ㅋㅋ 이 변화에 우리는 계속 적응해야겠지.
profile image
2등 그랜드슬래머 24.06.18. 23:41

출생년도랑 띠를 같이 말하는 경우도 있지
국민들이 거의 다 알거 같은 58년 개띠ㅋ

profile image
브라이언 작성자 24.06.18. 23:54
그랜드슬래머
아 ㅋㅋㅋ 그럴수도 있겠구나 진짜 요즘은 나이가 너무 헷갈려 진짜 ㅎ
profile image
3등 JOHNWICK 24.06.19. 00:08
나이 따질때도 몇년생이 알기쉽고 더좋더라 ㅎ
profile image
혀니 24.06.19. 00:15
몇년생이라고 하는게 나와의 차이를 알기 쉬운거 같아.
profile image
Madlee 24.06.19. 15:57
아 그냥 모르면 나는 18~19살이라고 함 ㅋㅋ

솔직히 내 생각은 거기에 멈춰있으니까...ㅋㅋ
profile image
로건 24.06.19. 16:11
나이에 유독 민감한 우리나라 사람들이라 젊을 때는 몇 살이냐 물어보고 서열 정리를 하려고 하는...
나이가 들면 몇년생인지로 바뀌는건가...^^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되었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