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0개
  • 쓰기
  • 검색

정보 우리나라 조각의 재료는 주로 화강암을 사용하는가?

도르마무
8694 0 0
금지 규정 네 정치&시사 글이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조각은 화강암을 주로 사용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다'임.

 

 

 

그렇다면 우리는 왜 우리나라는 화강암을 주로 조각에 사용했다고 생각하는걸까?

 

이 이유는 간단함 '남아있는 조각'이 보통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조각이 많고, 우리나라의 조각하면 화강암석재로 조각한 '석굴암'을 떠올리기 때문임.

 

 

image.png 우리나라 조각의 재료는 주로 화강암을 사용하는가?

 


실제 석굴암은 뛰어난 조각이 맞음 그러나 이 석굴암처럼 '석재'가 우리나라 조각의 주 재료였나 하면 그것은 확실하게 아니라고 답 할 수 있음.

 

(그리고 석굴암 관련글 보면 석굴암이 무슨 우리나라에서 고유하게 만든거로 이야기하던데 석굴암 본존불의 원형은 인도 보드가야 마하보리사의 성도상, 석가모니가 깨달았을 때의 모습을 표현한 상을 당나라의 현장이 보고

 

그 모습을 기록한 '대당서역기'를 기반으로 함. 이러한 성도상 따라만들기는 당시의 유행이었는데, 석굴암의 특이한 점은 현장의 기록 중에 성도상의 크기를 그래도 따라만든 것이 특징임)

 

 

 

 

 

석굴암 이외에 우리나라 조각으로 유명한 작품을 뽑자면 현재 국중박 사유의방에 전시되고 있음 금동반가사유상을 뽑을 수가 있음.

 

 

 

국보_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83-6_문화재대관(국보).jpg 우리나라 조각의 재료는 주로 화강암을 사용하는가?

 


이 보살상처럼 통신~고려대의 불상은 주 조각의 재료가 '금동'이었다고 생각하는 게 좋음. 물론 이외에도 철불, 목불등이 있긴하지만, 이것들도 개금이라고해서 금칠하는 하는 작업을 해야함.

 

(개금을 하는 이유는 불상을 만드는데에 있어 72길상 80종호라고하여 경전적인 근거하에 만들어야 하기 때문임. 예를 들면 부여의 이마에 있는 점은 백호라고하여 부처상을 만들때 꼭 표현해야하는 요소고,

 

광배라고해서 불상의 뒤에 빛이나는 표현을 하는건 부처의 몸에서는 금빛이 나와야하기 때문임. 이 금빛때문에 불상은 개금이라고하는 금을 덮입히는 작업을 거침)

 

또 금동의 경우 무른 재질의 특성상 주조를 한 이후에도 재가공을 해서 세밀한 표현이 가능함. 실제 통일신라 분황사에 있었다는 약사대불은 금동이었다는게 확실하고, 황룡사에 있었다는 장육존상 또한 석재가 아닌 것은 확실함.

 

 

 

 또 이러한 조각에 대해서 생각할때 알아야하는 점은 삼국시대~고려시대까지의 미술은 '고위층의 예술=불교예술'이었다는 점을 알면 좋음.

 

귀족이나 왕족이 돈을 마음껏 후원해주는데 님들같으면 조각하기 어렵고 무거운 석재를 쓰겠음?

 

여기에 조금도 첨언하면 조선시대로 가면 불교미술품들은 후원하는 사람이 소수의 왕족 귀족에서 많은 사람들의 시주를 받는거로 바뀜.

 

그리고 절의 중심이 되는 대웅전같은 전각에 불단위에 불상을 올려야하는데 이걸 석재로 만들기는 어렵다는 것도 생각해야함. 또 조선후기 석불에 사용되었던 돌도 화강암이 아닌 경주불석이라고하는 다른 재질의 돌로 알고 있음.

 

 

 

 

 결론은 석재는 우리나라 조각의 주 재료가 아니고 남아있는 불상 중에 유명한게 석재고 화강암이 유명해서 그렇게 생각하는거임. 아래사진은 이번 국중박 특별전에서 인상깊게 본 예천 용문사 목각탱인데, 이런 작품도 우리나라에 있다는 거를 알아주면 좋을거 같음.

 

 

 

예천_용문사_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jpg 우리나라 조각의 재료는 주로 화강암을 사용하는가?
 

 

ps. 서양미술이랑 동양미술이랑 우위? 이거는 예술의 목적을 생각해봐야함.

 

앞서 말했듯 고려시대까지의 미술은 고위미술=종교미술 이었고 종교미술은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불상을 보는 신자들이 어떻게하면 경외심을 갖고 신앙심을 가질까?'가 고려요소임.

 

그렇기에 미술의 최고봉을 뽑히는 르네상스 시대의 조각들이 추구하는 '사실주의'와는 그 목적이 다름.

목적이 다르기에 어느 예술품이 자신의 마음에 드냐는 자신의 취향 차이라고 봄.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받을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