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1개
  • 쓰기
  • 검색

정보 첨성대는 별을 보기 위해 세워진게 맞을까요?

욱쓰
7396 0 1
금지 규정 네 정치&시사 글이 아닙니다

image.png 첨성대는 별을 보기 위해 세워진게 맞을까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학교에서 역사를 배울 초창기엔 

 

첨성대는 별을 보는 관측소다, 라는 이야기를 누구나 듣습니다.

 

실제로 첨성대의 이름이 별을 보는 (첨성 : 瞻 쳐다볼 첨, 星 별 성) 곳이라는 뜻이죠.

 

그러나 그 이후로 역사에 조금만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첨성대가 별을 보는 관측소가 맞나? 는 의심섞인 이야기 또한 들어보게 됩니다.

 

 

 

여기엔 여러가지 이유가 있죠.

 

아무리 봐도 관측소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겁니다.

 

 

 

image.png 첨성대는 별을 보기 위해 세워진게 맞을까요?
(가장 유명한 천문대인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

 

 

고대 시대이니 저렇게 생기지는 못하더라도

 

별 보려면 그래도 산으로 올라가야 하는 것 아니냐? 무슨 평지에 저렇게 천문대를 세워?

 

별 관측하려면 산에 가야지! 주변에 토함산, 남산 등이 더 낫겠다!! 

 

 

또한, 삼국유사엔 사람이 오르내렸다는 기록도 있으나, 그렇다고 하기엔 내부가 좁고 불편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첨성대가 별 보는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가 아닐까? 라는 의문을 품게 됩니다.

 

사학계에서도 그러한 이야기가 종종 나왔죠.

 

종교적 상징물이니, 선덕 여왕을 신성화하기 위한 도구 ( 선덕여왕의 치마와 모양이 비슷하다는 얘기도 들어본 것 같습니다) 이니 등등 여러 썰이 나왔습니다.

 

뭐 근데 (삼국사기에는 첨성대에 대한 기록은 정확히 나와있진 않습니다만) 삼국유사에 명칭, 용도 등의 기록이 적혀 있으니, 안 믿을 수도 없고... 뭐 이런 상황이었드랬죠.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는 좀 다른가봅니다.

 

주류 학계에서는 이제 첨성대가 천문대였음을 정론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합니다.

 

 

 

image.png 첨성대는 별을 보기 위해 세워진게 맞을까요?

 

우선,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의 조사에 따르면, 첨성대가 만들어진 뒤에 신라 천문 관측 기록의 양이 대폭 증가, 기록 또한 자세해졌으며, 당시 관측된 유성의 낙하 지점들이 모두 첨성대 주변이었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자료 링크 : #)

 

이는 첨성대가 실제로 천문대로써의 역할을 수행했다, 라는 뜻이 되겠죠.

 

그렇다면 대체 왜 산에 있지 않고 평지에 있느냐????

 

크게 2가지 이유로 설명을 합니다.

 

1. 고대의 천문 관측은 실제 천문학 연구보다는 국가의 길흉을 점치는 용도에 있다.

 - > 따라서, 이러한 시설은 왕궁과 가까워야 했다.

 

2. 지금이야 산에 올라가야 별이 잘보이지만, 그 당시에도 그랬을까?

 - > 지금처럼 공기가 탁하지 않은 그때는, 평지에서도 별 아주 잘 보였을 것!

 

 

아... 평지에서도 잘 보였겠구나 ㅋㅋㅋ

 

또한, 슬로바키아의 옛 관측탑 사진이 공개되면서, 이러한 사진처럼 첨성대는 천문대의 흔적이며, 당시에는 위에 누각이 지어졌을 수도 있다는 학설 또한 제기합니다.

 

 

image.png 첨성대는 별을 보기 위해 세워진게 맞을까요?
(슬로바키아 스타라 비스트리차 보보벡 힐의 옛 관측탑)

 

 

...첨성대네? 첨성대여!!

 

 

 

그래서, 첨성대는 천문대일 가능성이 높다는게 최근 학설이라고 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1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데릭 22.01.11. 23:11

첨성대를 천문 관측용, 불교의 수미산을 형상화 했다는 의견도 있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 제단이라는 이야기도 들었던것 같구.. 정확한 기록이 있으면 좋겠지만.. 계속 연구를 하고 자료를 찾다보면 뜻하지 않게 발견할수도 있지 않을까?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