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0개
  • 쓰기
  • 검색

자전거 투어지에서 공개한 타막sl7의 데이터 수치

춥핍팝
511 1 0
 
기존 sl6, 뉴벤지와 비교해보자면
 
<타막 sl6>
에어로성능(45km/h, 20도 측풍, W) : 221W ( 휠은 clx50인듯?)
헤드튜브 강성(N/mm) : 105 N/mm
포크강성(N/mm) : 65 N/mm
비비강성(N/mm) : 76 N/mm
싯포스트 강성(N/mm) : 104 N/mm
 
<뉴벤지>
에어로성능(45km/h, 20도 측풍, W) : 209W (rapide clx 신형휠)
헤드튜브 강성(N/mm) : 91 N/mm
포크강성(N/mm) : 46 N/mm
비비강성(N/mm) : 67 N/mm
싯포스트 강성(N/mm) :  261N/mm
 
<타막 sl7>
에어로성능(45km/h, 20도 측풍, W) : 210W (rapide clx 신형휠)
헤드튜브 강성(N/mm) : 98 N/mm
포크강성(N/mm) : 53 N/mm
비비강성(N/mm) : 58 N/mm
싯포스트 강성(N/mm) : 156 N/mm
 
기함급 에어로 라인업들의 공력 성능이 보통 202W~215W 사이에서 왔다갔다 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확실히 이번 타막에서 동일 거리 기준 45초가 줄어들었다고 하는 것은 거짓말이 아닌 것 같습니다.
 
무려 11와트가 줄었네요.
 
참고로 뉴벤지 209W, F12 211W, 마돈 RSL 204W, 시스템식스 202W입니다. 숫자가 적을 수록 빠릅니다.
 
물론 공력성능은 휠빨이 크기때문에(휠에 따라 10W정도 차이가 납니다.)
 
저 수치만으로 모든 것을 단정지을 순 없다지만 어느정도의 관계는 유추할 수 있고,
 
확실히 일반적인 올라운더들의 공력성능은 압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에어로 형상을 추가한 이유 때문인지, 강성들은 전반적으로 줄어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게를 감량하면서 에어로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니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고 볼 수 있네요.
 
강성의 경우 튜빙들의 단면계수값과 무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비비강성의 경우 sl5, sl6에서는 다른 자전거들보다 압도적인 수치였는데
 
많이 떨어져서 기함급 라인업들의 평균치 정도를 보여주네요.
 
싯포스트를 제외한 강성 및 에어로 수치들은 도그마 F12와 매우 유사합니다. 
 
결과적으로 에어로를 위해 강성을 어느정도 희생하였고, 대신 무게 감량이 상당히 이루어졌다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물론 강성이 낮다고 해서 반응성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반응성이랑 강성이랑은 확실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구형에몬다의 경우 강성이 낮은데도 경쾌하다고들 하니까요.
 
이번 sl7의 경우 최상급의 에어로 성능을 지닌 올라운더 레이스바이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봅니다.
 
ps. 사실 기함이라는 것이 성능적으로는 정말 미세한 차이만 있을 뿐이고
 
결과적으로 라이더의 실력에 따라 기록이 결정된다는 것 또한 저도 알고 있습니다.
 
저렇게 수치로 순위를 매긴다는 것 자체도 기함 사이에서는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구요..
 
다만 제가 공대쪽, 특히 기계공학 출신이라 그런지 그냥 이런 쪽에 관심이 있을 뿐이고...무엇보다 재미있잖아요!
 
논쟁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무엇보다 동호인은 자신이 좋아하는 모델의 자전거를, 안전하고 재밌게 타면 그만이라는것이 제 입장입니다~
 
 
 

image.png.jpg

 
신고공유스크랩
머선129 머선129 Bro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삭제

"투어지에서 공개한 타막sl7의 데이터 ..."

이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

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