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0개
  • 쓰기
  • 검색

경제 트렌드 현재 미국 시장 정리

울심마
7616 1 0
게시판 운영규정 해당 사항을 확인했습니다.

image.png.jpg

 

1. 뉴욕증시

- 3대 지수 상승. 
- 장 초반 하락세 였으나 애플 급등하며 시장 끌어올림. 
- 11개 업종 중 10개 상승. 

- 애플(+6.98%), 알파벳(+3.37%), 아마존(+3.11%), 마이크로소프트(+2.81%), 메타(+2.37%),  테슬라 (+2.08%) 
- 팀쿡은 "애플의 공급사슬은 부족분을 고려해도 매우 좋다. 펀더멘털상의 공급사슬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

- 얼라이의 린지 벨은 "최근 변동성을 고려할 때, 기업 실적이 시장을 안정화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다.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과 같은 시장 펀더멘털이 중앙은행 정책변화 및 인플레이션 관련 우려에 맞춰진 초점을 옮겨가게 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 우크라이나 침공시 미국 정부는 러시아 신규 국채 거래를 전면 금지, 첨단 마이크로 전자부품 등 핵심 섹터에 대한 수출 규제, VTB은행 등 러시아 대형 국영은행들에 대한 규제 할 것. 

- 최종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음. 
- 이번주 NSC멤버들과 행정부 고위관료들은 씨티그룹, BOA, JP모건, 골드만 임원과 회의 

- 러시아 규제가 실행되면 18년 발생했던 스필오버 효과를 낼 가능성이 있다. (당시 러시아 규제는 세계 2위 알미늄 생산업체 루살에 타격을 입혔으며 알미늄 공급망 붕괴되며 가격 30% 급등)


 

 

image.png.jpg

 


2. 외환 

- 달러인덱스 약보합 마감. 
- 이외 통화 혼조세. 
- BOE 금리 인상 예상으로 파운드 강세. 
 

3. 국채금리 

- 국채 수익률 중단기물 중심 하락 마감. 
- 유로존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로 하락 했으나 미국 장 후반 3대 지수 상승하며 하락폭 축소. 
- 연방기금금리 3월 금리인상폭 30bp 반영. (3월 50bp 인상을 반영)
- 연말까지 120bp 반영 (5회 인상)
 

4. 국제유가 

- 7년만에 최고치 경신. 
- 브렌트유 3월물 90달러, 4월물 89달러 마감. 
-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원인. 
- 2월 2일 opec+ 회의. 

- 베이커휴즈 굴착장비수 491-> 495 

 

image.png.jpg

 

5. 중앙은행 및 정책
 

가)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왕비둘기)

- 올해 3회 금리 인상 질문에 “우리는 그저 모른다. 공급과 노동시장에 달렸다"고 답변. 상황에 따라 금리인상 횟수 더 늘어날 가능성을 내포한 답변. 
- "우리는 매우 강한 성장세를 목도하고 있으며, 이것은 좋다. 우리는 강한 고용 창출을 목도하고 있다"



6. 경제지표 
 

<US>

가)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YoY)

- 4.7% -> 4.9% 

나) 개인지출 (MoM)
- 0.4% -> -0.6% 

다) 개인소득  (MoM)
- 0.5% -> 0.3% 

라)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70.6 -> 67.2
- 10년만에 최저 수준. 
 

<EUR>

가) 경제신뢰지수 

- 113.8 -> 112.7 
- 9개월 최저치. 공급 차질과 코로나 확산 영향. 
- 지정학적 리스크가 실제 물리적 충돌로 이어질 경우 에너지 가격의 상승으로 물가 상방 리스크 우려 존재. 

신고공유스크랩
Madlee Madlee Bro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