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3개
  • 쓰기
  • 검색

경제 트렌드 빚투가 점점 늘고있다.

발롱블랑 발롱블랑
3591 2 3
게시판 운영규정 해당 사항을 확인했습니다.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1천800조 원을 넘었습니다. 특히 20·30대 청년층에서 빌린 돈이 계속 늘고 있는데, 집을 구하고 또 주식에 투자하느라고 빚을 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먼저, 정다은 기자입니다.
   
   <기자>
   
   각종 규제에 주택 거래량이 지난해보다 분기 평균 5만 가구 이상 줄었는데도 집값이 뛰면서 주택담보대출액 증가세는 이어졌습니다.
   
   이 탓에 전체 가계 부채도 10% 넘게 늘어 1천800조 원을 넘겼습니다.
   
   [이상형/한국은행 부총재보 : 가계 부채 확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택 가격의 높은 상승이 이어지면서 금융 불균형이 심화되는 등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잠재 취약성은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30대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이 다른 연령대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전·월세 사는 청년층이 많은 만큼 전세자금대출 비중이 가장 크고 증가세도 20% 이상으로 꾸준한 편인데,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증가 폭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빚을 내서 집을 사고 주식을 산 청년층이 그만큼 늘어서인데, 실제 수도권 아파트 청년층 거래 비중이나 지난해 청년층이 새로 개설한 주식 계좌 수의 증가세가 이를 방증합니다.
   
   빠르게 늘어나는 부채는 금리 인상 시기 이자 부담으로 되돌아옵니다.
   
   지난 8월 한 차례 금리 인상으로 전체 가계의 이자 부담은 지난해보다 2조 9천억 원 늘고, 만약 연말에 한 차례 더 금리가 오르면 5조 8천억 원 늘어납니다.
   
   한국은행은 전체 가계 부채 연체율이 낮아지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빚을 내 산 자산 가격이 예기치 않게 내려갈 수 있고, 부채 부담으로 인해 소비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은 우려 요소로 지적했습니다.
   
  

개미들의 부채가 점점 늘고 있어..너무 금융불균형이 되다가 정말 일본처럼 거품경제가 되는게 아닐까 걱정이긴하다..ㅠ
 

신고공유스크랩
닌자 닌자 Bro 포함 2명이 추천

댓글 3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닌자 21.09.26. 23:54

난 빚으로 투자하면~ 빨리 갚아야 한다는 부담감이 생겨서 진득하게 못 기다릴것 같아서 하지 않지만..

 

그래도 부자들은 잘 이용해서 더 크게 자산을 불리더라구.

 

하지만 경험도 통찰도 부족한 20~30대가 빚내서 투자한다면 위험하다 ㅠ

profile image
2등 blueskykim 21.09.27. 07:49

자산가치 폭등이 화폐가치 하락으로 이어지니... 저금리까지 시너지를 내서 빚내서 투자하는 게 대중화됨..

profile image
3등 WOLF200 21.09.27. 11:17

고위험이지만 지금 저금리시대에서 앞으로 다가올 인플레이션 생각해서는 현명하다고 할수도 있지않을까..

다만 금리가 올라가면 ㅈ망이겠지..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태그 : 적절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