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0개
  • 쓰기
  • 검색

창업 청년창업의 현실과 방향성

JackSS JackSS
1651 1 0
주의사항 ⚠️본인이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

 최근 창업 관련하여 강의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그러면서 나의 6년을 돌아보는 계기와 현재 청년창업의 현실을 직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칼럼에 적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차에 필자의 칼럼 차례가 돌아왔다.

 

그럼 과연 청년창업의 현실은 어떠할까? 그리고 다양한 창업지원들은 과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을까?

 

 30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창업(141만 7,973개) 중 부동산업을 제외한 실질 창업은 2020년 대비 5.1% 증가했다. 또, 정보통신업과 전문과학기술업 등 이른바 ‘기술기반 업종’ 창업은 23만 9,620개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한다.

 

 또한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도 성인남녀 2,929명을 대상으로 ‘창업 의향’을 조사한 결과, 60.2%가 ‘의향이 있다’라고 답했다. 이는 3년 전인 지난 2019년 조사(39.4%) 대비 20.8% 증가한 수치다. 현재 성인남녀 10명 중 6명은 창업을 꿈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창업하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원하는 일을 하고 싶어서’(47.5%, 복수 응답)를 가장 많이 답했다. 다음으로 ‘정년 없이 평생 일할 수 있어서’(40.4%), ‘눈치 안 보고 편하게 일하고 싶어서’(35.9%), ‘직장 생활보다 돈을 많이 벌 것 같아서’(30.2%), ‘성공하면 큰 보상이 뒤따라서’(22.9%), ‘투잡 등 부수입을 얻기 위해서’(18.8%), 취업이 너무 어려워서’(15.4%) 등의 순으로 나왔다.

 

 가장 창업을 하고 싶은 업종은 ‘음식점, 주점 등 외식업’이 20.7%로 1위였다.

위의 통계를 요약한다면 비약적일 수 있겠지만 청년 중에 절반 이상이 창업을 꿈꾸고 있으며 원하는 일을 정년이 없이 편하게 큰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고 음식점과 주점을 창업하고 싶어 한다.

 

그럼 창업 그 후는 어떠할까?

 

 먼저 폐업률을 조사해본 결과 35세 미만 청년층이 창업한 사업체의 폐업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층이 창업한 사업체의 중위수 생존시간은 2.3년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짧았다. 중년층(35~49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2.9년이었다. 장년층(50~64세)의 업체 생존시간은 3.1년으로 가장 길었다.

 

 그동안 청년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대책으로 청년창업 지원이 활발하게 이뤄졌음에도 이번 연구 결과 청년층의 창업 생존율이 가장 낮았으며, 폐업위험이 크다는 것은 기존 청년 창업지원 정책의 실효성이 낮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청년층에 대한 창업지원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라고 지적했다.

 

그럼 위에서 이야기한 1년에서 5년 사이 창업을 지속한 청년은 어떤 현실에 놓이게 될까?

 

 한 청년 창업자의 인터뷰 내용을 보면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초기 자금을 무리하게 운용하면서 사업이 진척됐을 때 필요한 부분에 자금이 투입되지 못하는 상황’을 지적했다.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찍 창업을 시작했을 때 금전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회복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진다.

 

 자금을 받아 쓰다가 돈을 갚느라 정상적인 삶의 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에 빠지게 된다”라며 “무분별하게 일찍 시작하는 것이 붐이 되다 보니 패기와 열정만 가지고 창업을 시작하면 나중에 실패로 인한 금전적 문제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어떠한 방안이 필요할까?

 

 청년창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한국창업학회지의 「청년창업 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는 기존의 융자 중심 자금 지원에서 투자 중심 자금 지원 방식으로의 전환과 창업 생태계 구축을 통한 청년창업 교육 및 보육 시스템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투자 기반 지원 방식은 창업의 역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창업의 성과를 조기에 안정화할 수 있고,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면 다양한 사업화 문제에 대한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내용을 필자의 생각에 맞추어 표현한다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1. 투자라는 것은 창업자 및 아이템의 가치를 보고 하는 것이다. 그 부분에서 창업의 기본적 소양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2. 창업 후 지속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창업 후 어려움에 봉착하여 점점 처음의 마음가짐과 다르게 나태해지고 방향을 잃어버리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그리고 사업 도중 한 단계 도약을 위한 소스들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찾지 못하는 상황을 위해 현실적인 창업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3. 마지막으로 적절하면서 질 좋은 구제 시스템 또한 필요하다. 폐업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분명 상황이 어려워짐에도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청년 창업자 또한 존재한다. 아이템의 매력이 부족했거나 초기 방향 선택 설정의 미숙함, 혹은 홍보의 부족함이 낳은 결과일 수 있다. 이럴 때 다시 한번 돌아보고 적절한 방향 설정 및 차후 성공 가능성이 있다면 이에 맞는 구제 시스템을 통해 좋은 청년 창업자를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가 아닐까 한다.

 

출처 www.iksanope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97324

신고공유스크랩
JOHNWICK JOHNWICK Bro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주간 조회수 인기글

주간 추천수 인기글

태그 : 트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