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 경제학과의 현실.

1884 5 15
정치,시사 금지 | 네 정치&시사 글이 아닙니다 |
---|
난 그냥 내 생활 경제만 잘 관리하기로 했다.
댓글 15
댓글 쓰기

기계금속쪽이 많이 모자라네. 전기전자도 그렇고.. 저런거 보고 골라야 하는게 좋을 것 같음 ㅎ

브라이언
그러게.. 산업현장에서 절대 적으로 필요한 인력들이니...

로건
나도 사실 지금은 공대일은 안하지만 공대를 대학원에서 나왔는데 공대가 직장인으로 일하기 딱 좋음

기계는.항상 부복한것 같네 예전에 전화기라고 전기전자 화공 기계똑 사람들이 많이 필여했는데 요즘도..

wolf11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전자, 기계, 화공 쪽은 꼭 필요한...

열렙해서 졸업하고 취직해서 애들 낳고 아들 초등수학 문제 직면하면 못 품.. 🤦뇌절..

쥬드로
ㅋㅋㅋ 나도 애들 문제 보고, 당황 많이 했었던 기억이.... ^^

사진으로 묘사한 것이 너무 대박이네. 왜 그런지 공감되는 것도 있고...
인력과다 상위 10개 학과에 졸업한 학과가 포함된 것은 좀 우울하고...
인력과다 상위 10개 학과에 졸업한 학과가 포함된 것은 좀 우울하고...

헤오
확실히 공학 쪽을 제대로 배운다는 건 보통일이 아닌 듯... 일단 수학을 기본으로 깔고 시작하기에...ㅋ

근데 경제학과 졸업하면 어디 취업하는거임?
이거봐도 모르겠네 ㅋㅋㅋ
이거봐도 모르겠네 ㅋㅋㅋ

JOHNWICK
은행, 보험, 증권, 펀드매니저, 경영컨성턴트, 사회과학, 외환딜러, 투자분석 등
금융쪽이나 사회과학분야 쪽으로 많은 연관이 있어서 그리로 많이 간다고 하네..
물론 전공과 상관없이 취직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기계는 지금도 인력부족이야
우리회사도 그렇고 거래처들을 가봐도 20~30대 찾기가 힘들어
아 아재, 할배들이야
우리회사도 그렇고 거래처들을 가봐도 20~30대 찾기가 힘들어
아 아재, 할배들이야

그랜드슬래머
그러게.. 전공해서 배우거나 자격증 취득도 쉽지 않은데다, 업무 특성상 힘든 경우가 많은데다 고수익도 처음부터 보장되지 않아서 젊은 사람들이 꺼려하는지도...

ㅋㅋ 대학을 안다녀서
잘 이해는 안되지만
수학생각하니 그냥 살짝 ..이해되려고함 ㅋㅋㅋ
잘 이해는 안되지만
수학생각하니 그냥 살짝 ..이해되려고함 ㅋㅋㅋ

톰하디
저건 대학원을 나와도 모르는 사람들이 바글바글 할 듯... 그냥 외계어...ㅋㅋㅋ
열렙해서 졸업하고 취직해서 애들 낳고 아들 초등수학 문제 직면하면 못 품.. 🤦뇌절..